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용산 국립중앙박물관(2007.03.04)
    박물관,전시회 2007. 3. 4. 22:22

    대지의 촉촉한 단비가 내리는 날..

    나무들에도 초록색 잎파리가 돋아나는 3월 4일(일)..

     

    우리 유구한 역사의 증명들을 확인해 보고자..

    우리 가족은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기로 하였습니다.  

     

    2006년 신규 개장이후 많은 사람들의 입에서 전해지던 웅장한 규모의 박물관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아이들의 어린이박물관에서 즐거운 체험놀이도 함께 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봄비치고는 많은 양의 비가 내려..

    외부의 정원과 각종 전시물들을 볼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아쉽긴했습니다 ㅜㅜ

     

     

    국립중앙박물관 입구입니다..

     

    무엇보다 비 올때 조은 점은 지하주차장으로 내려가면 바로 전시관으로 올라갈 수 있어서..

    비 맞을 일 없다는 점입니다^^

     

     

     

    상설전시관 입장료는 2,000원(어린이 1,000원)이었고

    어린이박물관 입장료는 500원인데 미리 인터넷예약을 해야 된답니다..

     

    아니면 현장예약은 인원에 제약이 있더군요..

     

     

    그리고 전시관옆 서관에 위치한 루브르미술관(프랑스) 전시는 어른 일마넌이라던데..

    시간도 업고 돈도 업고 해서 패쉬...

     

     

    우리 큰 놈 어제부터 안경을 썼습니다..

     

    어때요.. 안경 쓰니 인물이 더 살지 않습니까???

     

     

    전보다 더 똘똘해 보이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

     

     

    상설전시관이 위치한 동관전경입니다..

     

    유리구조물이 특색있는 것 같습니다^^

     

     

    회전문 첨 보는 아이들 같습니다..

     

    들락 날락을 여러번 하더군요^^

     

     

    상설전시관 입구쪽 천정 건축물입니다..

     

    우주선 이륙장면같습니다.... 

     

     

    오늘 박물관 관람

    옆지기 밀리터리 룩차림으로 전투에 임했습니다 ㅋㅋㅋ

     

     

    화사한 분위기의 통로..

     

     

    현대적 분위기의 천정구조입니다..

     

     

    통로에 석조 전시물도 중간중간..

     

     

    1층 통로의 고달사 쌍자사석등

     

     

     

    1층 통로의 경천사 십층석탑

     

     

    쫌 어렵지만 경천사 십층석탑에서 가족사진 찍어봤습니다^^

     

     

    이제부턴 1층 전시관입니다..

    구석기시대부터입니다..

     

    아. 그런데. 동건이 들고있는 기계는 뭔가요?

     

     

    전시관 입구에서 대여하는 음성/영상안내기입니다

     

    음성안내기(MP3) : 1,000원, 영상안내기(PDA) : 3,000원

    동건은 영상안내기를 들고있군요..

     

     

    이런 방식의 음성안내기를 운영하는 박물관은

    예전 일본의 후쿠오카박물관에서 처음 본 적이 있었습니다 후~후후

     

     

    ........

     

     

    저 장식의 루비빚 빗깔이 비단벌레에서 나온답니다..

    수십만마리의 비단벌레의 단백질 등을 제거한후 위와 같이 배열하는 것이지요..

     

    불쌍한 비단벌레 *-ㅜ

     

     

     

     

    철갑을 두른 말 두상..

     

     

    ........

     

     

     

    사람들이 박물관을 찾는 이유는..

     

    어쩌면 과거의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을지 모르는 기대가 아닌가합니다..

     

     

     

     

    혹시 저 아름다운 왕관을 쓴 모습이 과거의 제가 아닐까하고 말입니다 OTL

     

     

     

    제 옆지기가 가장 오랜시간 머문 장소..

     

     

    유명한 말탄사람 토기입니다..

     

     

    원숭이 무사 석상의 모습입니다^^

     

     

     

    .....

     

     

    배 고픈데 식사하고 돌아다니기로 하고..

    구내식당에 들어갔습니다^^

     

     

     

     

    역사관 입구에서의 우리가족의 모습입니당~

     

     

    전시거울을 통해서 본 모습..

     

     

    ......

     

     

    위성사진을 보고 브리핑중인 둘째..

     

     

    대동여지도 목판본을 마주보며ㅡ------

     

     

    동민.. 요즘 태권소년으로서 위상을 떨치고있습니다..

     

    때와 장소를 안 가리고 매진입니다 ㅎㅎㅎ

     

     

    .......

     

     

    2층 로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미술 선생님과 같이 박물관관람을 온 학생들이 많은 것 같았습니다^^

     

     

    모처럼 저도 아이들과 모델이 되어봤습니다 ㅎㅎㅎ

     

     

    박물관 내 목조가옥에서의 와이프의 모습입니다..

     

     

    손기정님이 기증한 그리스투구 앞에서

     

     

    암울한 일제시대를 마라톤 경기로 온국민에게 희망을 주셨던 손기정님의..

     

    그리스 투구는 왠지 더욱 제 가슴에 와 닿는군요..  

     

     

    .......

     

     

     

    인도네시아 발리의 신들의 조각앞에서..

     

     

     

     

    발리의 찬드라 조각상

     

     

    반가사유상의 가부좌상을 재현하는 아들들..

     

     

    석가모니상입니다^^

     

     

    전시관을 모두 다 보고 예약해 논 어린이 박물관으로 향하였습니다..

     

    오랜만에 예술기행이었던 것 같습니다..

     

     

    1층 로비에서 분위기있는 옆지기의 모습...

     

     

    어린이박물관입구입니다..

     

     

    입구에서 어린이박물관에 대한 설명과 주의사항을 듣고나서는..

     

    오감을 자극하는 체험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하게됩니다...

     

     

    열중하고 있는 조롱박들입니다..

     

     

    짚으로 만든 움집입니다..

     

     

    체험시설 모습입니다..

     

     

     

     

    체험학습에 열시미하는 모습입니다..

     

     

     

    .........

     

     

    퍼즐을 완성한 후 의기양양한 모습입니다..

     

     

    .........

     

     

    현대식 군복과 과거 갑옷을 각각 입어보는 시간도 있었습니다..

     

     

     

    왕관도 써 보고요..

     

    즐거운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을 마쳤습니다^^

     

    정말 웅장한 규모의 박물관이고 마음도 푸근해지는 것을 느낀 하루였습니다 *^^*

     

     

     

     

     

     

     

     

     

     

     

     

     

     

     

     

     

     

     

     

     

     

     

     

     

     

     

     

     

     

     

     

     

     

      

     

     

     

     

     

     

     

     

     

     

     

     

     

     

     

     

     

     

      

     

     

     

Designed by Tistory.